전략품목교육센터

quickmenu

Tech book shop

고객센터 및 입금계좌번호

반도체/디스플레이/광산업 국내 최대의 자료와 노하우로 보답하겠습니다.

> Tech book shop > 반도체/디스플레이/광산업

2022년 국내외 디스플레이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상) 요약정보 및 구매

공급가 396,000원  
정가 440,000원
포인트 9,000점
배송비 무료

선택된 옵션

  • 2022년 국내외 디스플레이 시장분석과 해외진출 전략(상) (+0원)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 안내문

2021년 디스플레이 산업은 상, 하반기 분위기가 너무나 상이했던 한해로 평가할 수 있다.
상반기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 등으로 인한 패널 수요 강세와 더불어 부품부족으로 인한 패널 생산 차질로 인해 패널가격 급등을 경험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높아진 패널 가격으로 세트업체들이 더 이상 받아내기 어려운 상황이 만들어진데다 패널 이외의 부품 수급에도 문제가 생김에 따라 채널에 재고를 쌓지 않고 가려는 모습들이 보였다. 이에 따라, 패널가격은 2021년 7월부터 급락세를 보이기 시작해 11월까지 32인치는 -55.1%, 55인치도 -40.8% 하락을 보였다.
OLED와 노트북은 선전한 한 해였다. 패널업체들은 하반기 TV패널 수요 둔화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IT패널로 8세대 캐파를 IT용으로 전환하고, 재고관리를 위해 가동률 조정에 나섰다. 한편, 수요면에서는 OLED TV가 전년 대비 79% 늘어나 8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고 노트북의 경우도 동기간 22.6% 늘어난 2.8억 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LCD TV는 동기간 5% 가까운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나 면적 기준으로는 2.5% 늘어날 것으로 보여 동일 세그멘트에서도 초대형 사이즈의 TV 판매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2022년 대면적 TFT 초과공급 국면: Omdia 추정에 따르면, 2022년 대면적 디스플레이 초과공급률은 면적 기준 15.1%로 전년비 11.8%에서 공급과잉 확대 국면으로 예상되고 있다. 패널 수요는 올해 대비 5.6% 늘어난 2.5억m2가 예상되는 반면, 공급 가능 캐파는 동기간 9.7% 늘어난 2.9억m2가 예상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별로 보면 수요의 72%를 차지하는 LCD TV는 대수 기준 0.2% 감소에도 불구하고 초대형 패널 수요가 늘면서 면적기준으로는 6% 확대될 전망이다. OLED TV는 출하 기준으로 17.5% 증가하고, 면적 기준으로도 15.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 대형 어플리케이션 중에서는 가장 성장률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OLED 패널만 보면, 중소형 패널 수급은 LTPO 전환 등에 따른 캐파 로스가 있지만 중국의 6세대 OLED 팹 증설이 지속되면서 여전히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황이다. 2022년 OLED 중소형 패널 초과공급률은 32.9%로 전망된다. 반면, 대면적의 경우 아직까지 단일 공급선의 캐파에 의존하는 반면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지난해에 이어 타이트할 수급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Omdia 추정 2022년 대면적 OLED 초과공급률은 4.9%에 불과하다.
2022년 지켜봐야 할 이슈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공급과잉으로 인한 패널 가격하락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고 어디까지 떨어질 것인가, 2) 새로운 성장동력 OLED는 어디까지 왔나, 3) 2021년 수급문제가 컸던 대면적 DDIC의 부품 부족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이 세 가지 이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021년 3분기 초과공급률이 16%로 전분기 10% 대비 급격히 악화되면서 패널가 하락세를 부추긴 상황이다. Omdia의 분기별 수급상황 전망은 상반기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2022년 상반기에 패널 가격이 2021년 하반기 가격보다 더 빠진다고 전망하였다. 관건은 이로 인해 세트업체들 수요가 살아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2022년 하반기에는 카타르 월드컵이라는 스포츠 이벤트가 있어서 프로모션을 위한 패널 수요 시점에 물류나 부품 문제가 개선된다면 패널가격 하락이 멈추고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
2021년은 그동안 모바일 중심으로 커오던 OLED 시장이 코로나 이후 대면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는 발판이 되었다. 이는 단기간 패널 수급 차질로 인한 LCD 패널가격 급등이 오히려 OLED 패널가격에 대한 세트업체의 수요를 자극했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대면적 프리미엄 TV 패널 시장에서 WOLED 패널의 시장 확대와 함께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가 출시되면서 OLED 생태계가 재고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21년 한 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가장 수급문제를 낳았던 DDIC 제품의 경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고해상도 비중이 커짐에 따라 수요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TV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대면적 DDIC의 경우 공급면에서는 증설이 없는 8인치 파운드리로 인해 대면적 DDIC 수급은 비수기에 잠시 수급 균형을 기대해 볼 수 있겠으나 성수기로 가면서 다시 쇼티지 상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넥스칩의 12인치 캐파로 DDIC 대응은 수급에 일정부분 도움이 되겠지만 공정노드가 90nm이기 때문에 대면적 DDIC 수급 해소에는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2년간 상승한 DDIC 가격이 쉽게 하락하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이 보고서에는 중소형과, 대형 OLED 시장전망, LCD 시장전망을 자세히 분석해 놓았다. 또한
국내외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눠 시장분석을 해놓았을 뿐만 아니라 국내외 디스플레이 기술분석까지 분석, 정리하였다.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련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목차

 . 국내외 2021년 디스플레이 시장분석과 2022년 시장전망

 

1. 2021년 디스플레이 시장분석

1) 흐릿하게 보였던 디스플레이 시장, OLED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다

(1) 2021년 롤러코스터를 탔던 패널 가격과 OLED의 선전

(2) 공급과잉이 예상되는 대면적 TFT와 OLED 시장 확대 기회

 
2. 2022년 디스플레이 산업 및 시장 전망

1) 2022년 디스플레이 산업 이슈

(1) 지속되는 패널 가격 하락세 

(2) OLED의 새로운 성장 - TV 모바일에서 IT, 마이크로까지 확장성을 엿보다 

(3) 대면적 DDIC 부품 부족 지속 

 
3. 중소형 및 대형 OLED 시장전망

1) 중소형 OLED 시장 전망

(1) 중소형 OLED 수요 전망 - ① 스마트폰

(2) 중소형 OLED 수요 전망 - ② 노트북

(3) 중소형 OLED 수요 전망 - ③ AR/VR/XR

(4) 중소형 OLED 공급 전망 – SDC, LGD, BOE 3파전

2) 대형 OLED 시장 전망

4) LCD 시장 전망

(1) LCD 패널 수요 전망

(2) LCD 패널 가격 전망

 
4. 2022년 스마트폰 시장전망

1) 스마트폰 성장의 가시성 증가

2) 팬데믹 속에서 스마트폰 의존도는 더욱 커졌다

3) 쌓여 가는 대기 수요

4) 대기 수요의 임계점 도달

5) 교체주기로 계산되는 잠재 수요는 14.3억대

6) 병목 현상의 해소가 수요 회복의 트리거

(1) 반도체 공급 부족의 해소 시작

(2) 중국 스마트폰 조정은 2022년 상반기 내 해소

7) Top 3에 집중되는 성장

(1) Top 3의 성장률은 시장 성장을 상회

(2) Top 3 중심의 ASP 상승 전망

8) 브랜드가 플랫폼으로 격상

9) 고가 스마트폰 중심의 성장

(1) 확대되는 고가 비중

(2) 고가 스마트폰에서 부품 가격 전가가 용이

(3) 강인한 아이폰 체력

(4) 폴더블 스마트폰의 성장은 맑음

10) 투자 아이디어 - Buy the deep

(1) 오히려 대형주가 싸다

 
5. 국내외 디스플레이 생태계 전망

1) 삼성디스플레이 전망

2) LG디스플레이 전망 

3) 중국 디스플레이 투자 전망 

 
6. 기업 분석

1) LG디스플레이

2) 솔루스첨단소재 

3) 덕산네오룩스

4) LX세미콘

5) PI첨단소재

6) 이녹스첨단소재

7) 덕산테코피아

8) 에스에프에이

9) 피엔에이치테크

10) 삼성전자

11) 한솔케미칼

12) UDC(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1) 기업 개요

가. 비즈니스 모델 및 매출 구성

나. 매출 구성 

(2) 시장 경쟁 현황

가. OLED vs LCD 

나. Red, Green 인광 발광 소재시장 독점

(3) 주요 주주 및 경영진

가. OLED 관련 핵심 특허들을 선점한 UDC

나. 특허 만료 우려가 강했던 과거, 결과는?

(5) 투자 포인트② : Level-up은 Blue Dopant와 OVJP로

가. 인광 Blue Dopant 상용화는 P, Q를 동시에 폭증 시킬 것

나. 진공열증착, IJP에서의 단점을 모두 개선한 OVJP 기술

(6) 투자 포인트③ : 실적 및 밸류에이션

가. TV,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 침투율 증가가 이끄는 실적

나. Peer가 없다. 미래 성장성 감안 시 PER 50배는 적정 수준

다. 장기적인 미래 수익 가치 온전히 반영되지 않은 현 주가

 

 
Ⅱ. 실무자가 알아야 할 OLED 소재에 관한 지식 

 

1. OLED: 발광(發光) 물질에 전기를 가해 스스로 빛을 내는 전계 발광

1) OLED 소재는 크게 발광층과 보조층(공통층)으로 구성

2) OLED 발광 방식은 형광과 인광으로 분류 가능

3) OLED 발광층은 호스트, 도펀트로 구성. 프라임 소재는 EML과 HTL 사이에 위치

4) OLED 소재 Supply Chain 살펴보기 : 각 OLED 소재는 5개 미만의 독과점 체제

 
2. Quantum Dot, OLED를 잇는 자발광 소재

1) Quantum Dot: 무기물의 안정성과 양자구속효과의 특성 보유

 
3. 발광 소재 외의 주요 디스플레이 소재 살펴보기

1) Black PDL, OLED 전력 소모를 낮추고 외부 빛은 차단하는 혁신 소재

2) FPCB용 주요 필름 살펴보기 (Feat. PI 필름 FCCL 등)

 
Ⅲ. 국내외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ㆍ부품ㆍ장비 분야 시장분석

 

1. 평판디스플레이 제조 로봇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분석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핵심기술

 
2. OLED용 봉지장비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박막봉지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분석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4. OLED 소재(발광층)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5. OLED용 발광층내 Dopant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6. 고유연·고경도 디스플레이용 소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7. 디스플레이용 PI 필름 소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8. 투명전극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 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9. 편광판, 편광필름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분석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0. 디스플레이용 TFT용 산화물 반도체소재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시장 성장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나. 해외 시장현황 및 전망

다.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경쟁현황

가. 국내 기업현황

나. 세계 기업현황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1. 디스플레이용 배리어 필름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2. 디스플레이용 양자점 소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3. 디스플레이용 증착 및 식각장치 및 부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14. FMM(Fine Metal Mask)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생태계 기술 분석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5. 디스플레이용 펠리클(Pellicle)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6. 이방성 전도 필름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분석

가. 시장 성장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나. 해외시장 

(3) 경쟁현황

가. 국내 ACF 기업현황

나. 해외 ACF 기업현황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분석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7. 마이크로 LED칩 전사장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시장 성장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나. 해외 시장현황 및 전망

다.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라. 수출입분석

(3) 국내외 업체 현황

가. 국내 마이크로 LED 전사장비 기업현황

나. 해외 마이크로 LED 전사장비 기업 현황.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분석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8. 고투명, 고경도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소재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시장 성장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

나. 해외 시장현황 및 전망

다.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3) 국내외 업체 경쟁분석

가. 국내 기업현황

나. 해외 기업현황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기술이전 관련 정보

 
19. 디스플레이 건식 레이저 세정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20. 마이크로LED 칩의 인터포저 기판 대량 전사 장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 체제 : A4사이즈, 본문 355

* 발행일 : 2022. 2. 9

* 편저: 신성상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상품 정보 고시

제품소재 상품페이지 참고
색상 상품페이지 참고
치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자 상품페이지 참고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상품페이지 참고
제조연월 상품페이지 참고
품질보증기준 상품페이지 참고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상품페이지 참고

이용안내

 

1.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타도서로 교환이나 환불하여 드립니다.

2.고객께서 이 금액에 대해 환불을 원하시면 다음 날 즉시 환불하여 드립니다.

3.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본 센타에서 택배비를 부담하여 재 발송하여 드립니다.

4.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도서의 파손은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추가정보

도서상품은 비과세상품(면세대상)으로 부가세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현금결제시 전자세금계산서가 아닌 전자계산서가 발행됩니다.

카드결제하신 경우엔 카드전표로 계산서를 대신 합니다.

거래명세서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주문시 '전하실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 또는 도서와 같이 발송됩니다.

계산서

현금결제(무통장입금)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계산서 발급을 원하시는 경우, 사업자등록증을 메일 또는 팩스로 보내 주시면 전자계산서로 메일전송해 드립니다.

카드결제

카드결재시 카드전표를 출력하시면 됩니다.

카드결재가 원활하지 못할시 유선(02-2635-6283)으로 카드결재승인 도와 드리고 카드전표(영수증)는 메일 전송해 드립니다. 

배송정보

배송료    : 무료
배송방법 : 택배 (등기발송)
배송일정 : 결제일(무통장입금 및 카드결제) 기준으로 합니다.

               주문신청후 1~2일 소요, 주말 또는 공휴일이 있을 경우 1~2일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교환/반품

* 상담전화 : 02-2635-6283(대표전화)

* ​고객의 귀책사유가 없는 한, 수령 후 7일이내 반품,교환,환불이 가능합니다.

* 공급받으신 도서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경우에는 공급받은날로부터 20일 이내 교환, 환불이 가능합니다

* ​반품, 환불시 단순 고객변심에 의한 반품, 교환에 소요되는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됩니다. 물론 물품이상시 발생되는 모든 제반  비용은 본 사에서 전액 부담합니다.